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서 에어컨을 작동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에어컨 리모컨에는 에어컨의 여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는데 어떤 기능이 있는지 헷갈릴 때가 종종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캐리어 스탠드 에어컨 리모컨 사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캐리어 에어컨 사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PMV 설정방법
먼저 PMV 설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MV는 인간 생활공간의 쾌적 지표로서 에어컨 스스로 실내환경을 감지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최적의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리모컨의 (+), (-) 버튼으로 희망 PMV를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실내가 '약간 덥다'라고 느껴질 때 PMV를 -0.2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PMV운전 시 풍량은 자동 설정됩니다.
제습운전 기능
제습운전 기능은 장마철이나 비 오는 날에 실내 습기를 제거해 쾌적함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제습모드는 30%~70%까지 5단위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퍼센트가 높을수록 습도가 높게 설정된다는 뜻입니다.
공기청정 기능
공기청정 기능은 사계절 내내 실내 먼지, 담배 연기 등을 제거해주는 기능입니다.
"공기청정"버튼을 눌러 설정해줍니다.
쾌속운전 기능
쾌속운전 기능은 실내를 급속히 냉방하고자 할 때 압축기 및 실내팬이 30분 동안 최대로 동작하며 이후 실내팬만 15단으로 변경되어 쾌속 모드로 연속 운전하는 기능입니다.
'냉방' 또는 '공기청정'버튼을 누른 뒤 '운전기능'을 누르고 ◀ 또는 ▶ 버튼을 눌러 쾌속을 선택해주세요.
절전운전 기능
절전운전 기능은 실내를 쾌적하며 유지하면서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냉방' 또는 '제습'모드로 설정하시고 '운전기능' 버튼을 누른 뒤 ◀ 또는 ▶ 버튼을 눌러 '절전'으로 설정합니다.
취침운전 기능
취침운전 기능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자동으로 설정온도가 변경되어 쾌적한 수면을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냉방'모드로 설정하시고 '운전기능' 버튼을 누른 뒤 ◀ 또는 ▶ 버튼을 눌러 '취침'으로 설정합니다.
이후 (+), (-) 버튼을 눌러 희망온도를 조절합니다. (시간마다 조정되는 온도는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운전예약 기능
운전예약이란 원하는 시간에 에어컨이 작동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운정/정지 중에 '예약설정'버튼을 누르고 ◀ 또는 ▶ 버튼을 눌러 시간을 조절합니다 (1시간~24시간)
원하는 운전선택, 풍량, 실내팬, 온/습도를 선택해서 설정합니다.
정지예약 기능
정지예약이란 원하는 시간에 에어컨이 꺼지는 기능을 말합니다.
운정/정지 중에 '예약설정'버튼을 누르고 ◀ 또는 ▶ 버튼을 눌러 시간을 조절합니다 (1시간~24시간)
운전, 정지예약 활용 예시
운전예약 활용 예시
퇴근뒤 바로 시원한 에어컨을 이용하고 싶을 때 / 오전 9시 출근, 7시 퇴근으로 가정해보겠습니다. 출근 전인 8시에 운전예약모드을 10시간으로 설정합니다 (퇴근 1시간 전인 오후 6시부터 에어컨이 자동으로 작동됩니다.)
정지예약 예시
잠이 들기 전에 원하는 에어컨 끄기 기능 활용 / 자기 전 새벽 2시에 꺼지는 것으로 가정해보겠습니다. 잠을 11시에 든다고 가정하면 정지예약모드를 3시간으로 설정합니다. (새벽 2시에 자동으로 꺼집니다.)
운전예약, 정지예약 동시 활용 예시
1시간 뒤에 틀어놓고 2시간 뒤에 꺼지도록 설정
운전예약은 1시간, 정지예약은 2시간으로 설정하면 설정한 시간 기준 1시간 뒤에 에어컨이 작동되고 설정 기준 2시간 뒤에 자동으로 꺼집니다. (사진 참고)
마무리
이상으로 캐리어 스탠드 에어컨 리모컨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제가 가지고 있는 에어컨 리모컨은 위의 사진과 같이 생긴 리모컨이며 캐리어 스탠드 에어컨이라는 것을 참고해주세요.
리모컨으로 캐리어 에어컨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냉방, 제습, PMV, 공기청정의 운전모드를 활용할 수 있고 풍량 조절, 예약 설정, 운전기능, 부가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기능들을 익혀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댓글